2017년12월16일 4번
[과목 구분 없음] (주)한국의 20×1년 기말재고자산에 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, 20×1년 말에 인식할 재고자산평가손실은? (단, 기초재고는 없으며, 원재료 b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제품 B는 향후에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)

- ① ₩10,000
- ② ₩50,000
- ③ ₩55,000
- ④ ₩60,000
(정답률: 알수없음)
문제 해설
인식할 재고자산평가손실 = (실제 재고자산 - 재고자산의 순가치) - (예상 판매가격 - 재고자산의 순가치)
여기서, 재고자산의 순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
재고자산의 순가치 = (원가 - 감가상각누계) × 재고수량
따라서, 각 재고항목별로 재고자산의 순가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.
- 원재료 A: (₩1,000 - 0) × 2,000 = ₩2,000,000
- 원재료 B: (₩2,000 - 0) × 1,000 = ₩2,000,000
- 제품 A: (₩3,000 - ₩1,000) × 1,000 = ₩2,000,000
- 제품 B: (₩4,000 - ₩2,000) × 500 = ₩1,000,000
- 완제품 C: (₩5,000 - ₩3,000) × 1,000 = ₩2,000,000
따라서, 재고자산의 총 순가치는 ₩9,000,000이다.
예상 판매가격은 제품 B를 제외한 모든 재고항목의 원가에 20%의 이윤을 더한 가격이다. 따라서, 예상 판매가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
예상 판매가격 = (원가 + (원가 × 20%)) × 재고수량
- 원재료 A: (₩1,000 + (₩1,000 × 20%)) × 2,000 = ₩2,400,000
- 원재료 B: (₩2,000 + (₩2,000 × 20%)) × 1,000 = ₩2,400,000
- 제품 A: (₩3,000 + (₩3,000 × 20%)) × 1,000 = ₩3,600,000
- 완제품 C: (₩5,000 + (₩5,000 × 20%)) × 1,000 = ₩6,000,000
따라서, 예상 판매가격의 총합은 ₩14,400,000이다.
따라서, 인식할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
인식할 재고자산평가손실 = (₩9,000,000 - ₩9,000,000) - (₩14,400,000 - ₩9,000,000) = ₩10,000
따라서, 정답은 "₩10,000"이다.